국어과 교수학습자료/국어학 (문법)

제2장 국어의 음운체계 4. 단모음, 이중모음, 반모음

광합성 도우미 2025. 2. 5. 09:46
반응형
■ 교재 : 국어의 정수 (현대문법-음운론)
■ E-Book 구매 링크 : https://skyclear247.upaper.kr/content/1187222
■ 종이책 구매 링크 : https://bookk.co.kr/search?keywords=%EA%B5%AD%EC%96%B4%EC%9D%98%20%EC%A0%95%EC%88%98

 

 

  모음은 공기가 목 안이나 입 안에서 별다른 장애를 받지 않고 나는 소리이다. 모음이 있어야 자음이 발음될 수 있다. 따라서 모음은 음절의 핵을 이룬다. 음절을 구성하는 데 꼭 필요하다는 의미이다.

  모음은 단모음이중모음으로 나눌 수 있다. 단모음은 발음하는 도중에 혀나 입술이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는 모음이다. 이중모음은 발음하는 도중에 혀가 일정한 자리에서 시작하여 다른 자리로 옮겨 가면서 발음되는 소리이다.

  단모음은 총 10개이다. 혀의 최고점의 위치에 따라 전설모음(입천장의 중간점을 기준으로 혀의 최고점이 앞쪽에 있을 때 발음되는 모음)후설모음(입천장의 중간점을 기준으로 혀의 최고점이 뒤쪽에 있을 때 발음되는 모음)으로 나뉜다. 혀의 높낮이에 따라 고모음(입이 조금 열려서 혀의 위치가 높은 모음), 중모음(고모음보다 입이 더 열려 혀의 위치가 중간인 모음), 저모음(입이 크게 열려 혀의 위치가 낮은 모음)으로 나뉜다. 입술의 모양에 따라 원순모음(입술을 둥글게 오므려 내는 모음), 평순모음(원순 모음이 아닌 모음)으로 나뉜다.

혀의 앞뒤
 
입술 모양
혀의 높낮이
전설모음 후설모음
평순 원순 평순 원순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이중모음은 총 11개이다. ‘를 천천히 발음하면 처음에 혀가 의 자리에서 시작하여 로 옮겨 가는 것을 알 수 있다. 에서 로 옮겨 갈 때 발음되는 소리를 반모음라고 한다. ‘에서는 소리가 에서 로 옮겨 가며 반모음가 발음된다. ‘에서는 소리가 에서 로 옮겨 가며 반모음가 발음된다. ‘반모음반모음는 소리값이 같아서 하나로 묶어서 표기한다.

  이중모음은 반모음로 시작하는  이중모음, ‘반모음/'로 시작하는 / 이중모음이 있다. 이중모음 의 경우는 반모음로 시작하는 이중모음으로 보기도 하고, ’반모음로 끝나는 이중모음으로 보기도 한다.

계 이중 모음 , , , , ,
/계 이중 모음 , , ,
계 이중 모음

  반모음은 스스로 음절을 이루지 못한다. 음성의 성질로 보면 모음과 비슷하지만 반드시 다른 모음에 붙어야 발음된다는 점에서 자음과 비슷하다. 그래서 반자음으로 부르기도 한다. 반달표(ˇ)'/', '' 위에 붙여 표시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