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국어과 교수학습자료/국어학 (문법) 69

[심화] 제5장 음운의 변동 12. 모음 축약

■ 교재 : 국어의 정수 (현대문법-음운론)■ E-Book 구매 링크 : https://skyclear247.upaper.kr/content/1187222■ 종이책 구매 링크 : https://bookk.co.kr/search?keywords=%EA%B5%AD%EC%96%B4%EC%9D%98%20%EC%A0%95%EC%88%98  모음 축약 중에는 이중 모음을 이루는 반모음과 단모음이 하나의 단모음으로 줄어드는 현상이 있다. ‘며느리→ 메느리, 꿩→ 꽁, 권투→ 곤투, 뭐→ 모’ 등이 그 예이다. 일부 방언에서만 일어난다. ‘뭐→ 모’를 ‘축약’이 아닌 ‘교체 후 탈락’으로 해석할 여지도 있다. 이중모음 ㅝ(wə) 내에서 단모음 ㅓ가 반모음ㅗ/ㅜ에 의해 원순모음화(교체)가 일어나고(wo) 이후 반모음ㅗ/..

[심화] 제5장 음운의 변동 11. ㅎ과 ㅅ

■ 교재 : 국어의 정수 (현대문법-음운론)■ E-Book 구매 링크 : https://skyclear247.upaper.kr/content/1187222■ 종이책 구매 링크 : https://bookk.co.kr/search?keywords=%EA%B5%AD%EC%96%B4%EC%9D%98%20%EC%A0%95%EC%88%98   ㅎ으로 끝나는 어간 뒤에 ㅅ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오면 [ㅆ]로 발음된다. '놓+소[노쏘], 놓+습니다[노씀니다]' 등이 그 예이다. 이 현상은 두 가지 관점에서 해석할 수 있다. 첫째, 축약으로 보는 것이다. 그러나 다른 장애음들과 달리 ㅅ는 ㅎ과 축약이 되어도 유기음이 되지 않는다. 경음이 된다. 치조 마찰음에는 유기음이 없기 때문에 경음으로 축약된다고 해석할 수 있으나, ..

[심화] 제5장 음운의 변동 10. 거센소리되기, 유기음화, 격음화

■ 교재 : 국어의 정수 (현대문법-음운론)■ E-Book 구매 링크 : https://skyclear247.upaper.kr/content/1187222■ 종이책 구매 링크 : https://bookk.co.kr/search?keywords=%EA%B5%AD%EC%96%B4%EC%9D%98%20%EC%A0%95%EC%88%98  ‘싫증’의 경우 거센소리되기가 일어나지 않는다. ‘싫다, 싫지’와 달리 ‘싫증’에서는 평파열음화가 먼저 적용되어 [실층]이 아닌 [실쯩]으로 발음된다. 병을 나타내는 접미사 ‘-증’은 ‘가려움증, 갑갑증, 건조증’ 등과 같이 [쯩]으로 발음되는 경향이 강하다는 점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지 않을까 한다.

[심화] 제5장 음운의 변동 9. ‘ㅡ 탈락’과 ‘ㅡ 첨가’

■ 교재 : 국어의 정수 (현대문법-음운론)■ E-Book 구매 링크 : https://skyclear247.upaper.kr/content/1187222■ 종이책 구매 링크 : https://bookk.co.kr/search?keywords=%EA%B5%AD%EC%96%B4%EC%9D%98%20%EC%A0%95%EC%88%98  ㅡ 탈락의 적용을 받는 어미, 즉 ㅡ로 시작하는 어미를 매개 모음 어미라고 부른다. '-으니, -으면, -은, -을' 등이 그 예이다. 매개 모음 어미는 앞선 형태소가 모음이나 ㄹ로 끝나면 ㅡ가 없는 형태로 실현되고 그 이외의 환경에서는 ㅡ가 있는 형태로 실현된다. ㅡ 탈락이 성립되기 위해서는 어미에 ㅡ가 있는 형태를 기본으로 삼아야 한다. 이와 반대로 ㅡ가 없는 형태를 기본으..

[심화] 제5장 음운의 변동 8. ㄹ 탈락

■ 교재 : 국어의 정수 (현대문법-음운론)■ E-Book 구매 링크 : https://skyclear247.upaper.kr/content/1187222■ 종이책 구매 링크 : https://bookk.co.kr/search?keywords=%EA%B5%AD%EC%96%B4%EC%9D%98%20%EC%A0%95%EC%88%98  용언 어간에 적용되는 ㄹ 탈락 중에는 다소 특이한 적용 환경을 지니는 경우도 있다. ‘아ᅀᆞᆸ고, 여ᅀᆞᆸ고’ 등과 같이 역사적으로 ㅿ를 가졌던 어미 앞에서 유음이 탈락한 경우, 이후 ㅿ이 소멸하면서 마치 모음 앞에서 유음이 탈락한 것처럼 보인다. ‘살+옵고[사:옵꼬], 살+오니[사:오니]’ 등이 그 예이다. ㅿ이 소멸에 대해서는 ‘국어의 정수(중세문법-음운론)’을 참고하자. ..

[심화] 제5장 음운의 변동 7. 모음 완전 순행 동화

■ 교재 : 국어의 정수 (현대문법-음운론)■ E-Book 구매 링크 : https://skyclear247.upaper.kr/content/1187222■ 종이책 구매 링크 : https://bookk.co.kr/search?keywords=%EA%B5%AD%EC%96%B4%EC%9D%98%20%EC%A0%95%EC%88%98  모음 완전 순행 동화를 탈락으로 보는 경우도 있다. 후행하는 모음이 사라지고 선행하는 모음만 장음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모음 탈락으로 본다면 앞의 모음이 길어지는 것은 탈락을 보상하기 위해 일어난 결과로 보아야 한다. 그러나 '크+어도→ [커도], 가+아서→ [가서]' 등과 같은 모음 탈락 현상에서는 장음화가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동화에 의해 같은 모음이 연속된 결과로 ..

[심화] 제5장 음운의 변동 6. 모음조화

■ 교재 : 국어의 정수 (현대문법-음운론)■ E-Book 구매 링크 : https://skyclear247.upaper.kr/content/1187222■ 종이책 구매 링크 : https://bookk.co.kr/search?keywords=%EA%B5%AD%EC%96%B4%EC%9D%98%20%EC%A0%95%EC%88%98  모음조화의 경우 피동화주를 규정하기 어렵다. 모음조화가 지켜지고 있는 출력형은 확인할 수 있는 반면, 입력형은 확인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양성 모음과 음성 모음 중 어느 것이 피동화주인지 알 수가 없다. '막아'와 '먹어'의 경우 '아'가 피동화주인지 '어'가 피동화주인지 확정하기 어렵다. 양성 모음이 피동화주라면 '먹어'는 '먹아'에 모음조화가 적용되어 피동화주인 '아..

[심화] 제5장 음운의 변동 5. ㅣ모음 역행동화

■ 교재 : 국어의 정수 (현대문법-음운론)■ E-Book 구매 링크 : https://skyclear247.upaper.kr/content/1187222■ 종이책 구매 링크 : https://bookk.co.kr/search?keywords=%EA%B5%AD%EC%96%B4%EC%9D%98%20%EC%A0%95%EC%88%98  ‘나비, 거미, 모기'가 ㅣ모음 역행 동화가 일어나지 않은 이유는 ’나ᄇᆡ, 거믜, 모ᄀᆡ‘에서 변화하였기 때문이다. 후행하는 모음이 ㅣ나 반모음ㅣ가 아니므로 ㅣ모음 역행 동화가 일어날 환경이 아니었다. 주격 조사 '이'나 서술격 조사 '이다'와 같이 쓰임새가 많은 문법 형태소 앞에서는 ㅣ모음 역행 동화가 잘 일어나지 않는다. 그러나 일부 방언에서는 체언이나 용언 어간이 첫 음..

[심화] 제5장 음운의 변동 5. 조음위치동화

■ 교재 : 국어의 정수 (현대문법-음운론)■ E-Book 구매 링크 : https://skyclear247.upaper.kr/content/1187222■ 종이책 구매 링크 : https://bookk.co.kr/search?keywords=%EA%B5%AD%EC%96%B4%EC%9D%98%20%EC%A0%95%EC%88%98   ㄹ은 치조임에도 불구하고 조음 위치 동화가 적용되지 못하는 이유는 자음 체계표를 통해 쉽게 파악할 수 있다. 국어의 유음이 치조음에만 존재하기 때문이다. 조음 방법이 고정된다면 ㄹ은 변동할 수가 없다. 경구개음이나 후음에 조음 위치 동화가 적용되지 못하는 이유는 음절의 끝소리 규칙이 먼저 적용되기 때문이다. ㅈ와 ㅎ는 종성에서 ㄷ으로 바뀐다. ㅇ이 조음 위치 동화의 동화음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