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교재 : 국어의 정수 (현대문법-음운론) ■ E-Book 구매 링크 : https://skyclear247.upaper.kr/content/1187222 ■ 종이책 구매 링크 : https://bookk.co.kr/search?keywords=%EA%B5%AD%EC%96%B4%EC%9D%98%20%EC%A0%95%EC%88%98 |
※ 사잇소리 현상 내에 ㄴ첨가가 있다. 사잇소리는 합성 명사에서 일어나는 현상이다. 사잇소리 현상이 합성어에 국한된 것과 달리, 여기에서 설명할 ㄴ첨가는 합성어, 파생어, 단어 경계 사이 등을 모두 포함한다. 즉 ‘합성 명사에서의 ㄴ첨가’는 ‘사잇소리 현상’과 ‘ㄴ첨가’의 교집합인 것이다.
합성어, 파생어, 단어 경계 사이에서 ‘앞 단어나 접두사의 끝’이 자음이고 ‘뒤 단어나 접미사의 첫음절’이 ㅣ나 반모음ㅣ로 시작하는 경우에 후행어의 초성에 ㄴ이 첨가된다. 사잇소리 현상과 마찬가지로 수의적 현상이다. ‘송별연[송:벼련], 검열[검:녈/거:멸], 금융[금늉/그뮹], 6·25[유기오], 3·1절[사밀쩔]’ 등과 같이 동일한 환경이지만 ㄴ이 첨가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선행어는 접두사이든 단어이든 상관없지만 후행어는 실질 형태소이거나 한자 계열의 접미사이어야 한다. 단, '인(人)', '일(日)'은 제외된다. 고유어 문법 형태소 중에는 높임을 나타내는 '요'가 결합할 때에만 일어난다.
‘어근+어근’의 사례로는 솜이불[솜:니불], ‘접두사+어근’의 사례로는 맨입[맨닙], ‘어근+한자 접미사’의 사례로는 장식용[장싱뇽]·식용유[시굥뉴], ‘어근+높임 보조사’의 사례로는 그럼요[그럼뇨]·집요[짐뇨], ‘단어+단어’의 사례로는 한 일[한닐]·그런 여자[그런녀자] 등이 있다.
ㄴ첨가는 음절의 끝소리 규칙 이후에 일어난다. ‘꽃잎→ 꼳입(음절의 끝소리 규칙)→ 꼳ㄴ입(ㄴ첨가) → [꼰닙](비음화)’ 순으로 음운변동이 일어난다.
반응형
'국어과 교수학습자료 > 국어학 (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 음운 변동의 유형별 사례 – 반모음 첨가 (첨가) (0) | 2025.02.27 |
---|---|
제5장 음운의 변동 ※ 특강 : 사잇소리와 사이시옷 (0) | 2025.02.27 |
제5장 음운의 변동 21. 음운 변동의 유형별 사례 – 사잇소리 현상 (첨가) (0) | 2025.02.24 |
제5장 음운의 변동 20. 음운 변동의 유형별 사례 – 반모음 탈락 (탈락) (0) | 2025.02.24 |
제5장 음운의 변동 19. 음운 변동의 유형별 사례 – 동일 모음 탈락 (탈락) (0) | 2025.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