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과 교수학습자료/국어학 (문법)

제5장 음운의 변동 ※ 특강 : 사잇소리와 사이시옷

광합성 도우미 2025. 2. 27. 12:43
반응형
■ 교재 : 국어의 정수 (현대문법-음운론)
■ E-Book 구매 링크 : https://skyclear247.upaper.kr/content/1187222
■ 종이책 구매 링크 : https://bookk.co.kr/search?keywords=%EA%B5%AD%EC%96%B4%EC%9D%98%20%EC%A0%95%EC%88%98

 

 

사잇소리는 소리’, 사이시옷은 표기와 관련된다. 사잇소리(ㄴ첨가 포함)는 ㄷ이나 ㄴ이나 ㄷ+ㄴ이 첨가되는 현상이다. 반면 사이시옷은 앞말과 뒷말 사이에 ㅅ을 표기하는 것이다. ㅅ을 표기하기 위해서는 앞말이 모음으로 끝나야 한다. ㅅ을 쓸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ㅅ을 쓸 공간이 없어서 사이시옷을 표기하지 못하더라도 사잇소리 현상은 발생한다. 사이시옷이 없더라도 문고리[문꼬리]로 발음되는 것이다.

사이시옷은 앞말과 뒷말의 어종(어휘의 종류)이 기준이 된다. 앞말과 뒷말 중 하나가 반드시 순우리말(고유어)이어야 한다. ‘순우리말+순우리말’, ‘순우리말+한자어’, ‘한자어+순우리말인 경우로 나뉜다. '피자집'과 같이 외래어가 포함되어 있는 합성어는 사이시옷을 적지 않는다. ‘한자어+한자어의 경우에는 곳간(庫間), 셋방(貰房), 숫자(數字), 찻간(車間), 툇간(退間), 횟수(回數)’만 예외로 두어 사이시옷을 적는다.

 

 

사잇소리

 

1. () 첨가 (표준발음법 제28)

-고리[문꼬리], -동자[눈똥자]
-[산쌔], -재주[손째주],
-[길까], -바닥[발빠닥]

 

2. ㄴ 첨가 (표준발음법 제29)

솜이불[:니불], 맨입[맨닙]

 

3. ()+ㄴ 첨가 (표준발음법 제30)

깻잎[깬닙], 나뭇잎[나문닙]

 

 

 

사이시옷 (한글맞춤법 제30)

 

1. 고유어+고유어

1) 뒷말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2) 뒷말 첫소리 ㄴ,ㅁ 앞에서 ㄴ 소리가 덧나는 것

3) 뒷말 첫소리 모음 앞에서 ㄴㄴ 소리가 덧나는 것

 

2. 고유어+한자어, 한자어+고유어

1) 뒷말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2) 뒷말 첫소리 ㄴ,ㅁ 앞에서 ㄴ 소리가 덧나는 것

3) 뒷말 첫소리 모음 앞에서 ㄴㄴ 소리가 덧나는 것

 

3. 한자어+한자어

1) 고유어가 없으나 ㅅ을 적는 경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