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재 : 국어의 정수 (현대문법-음운론) ■ E-Book 구매 링크 : https://skyclear247.upaper.kr/content/1187222 ■ 종이책 구매 링크 : https://bookk.co.kr/search?keywords=%EA%B5%AD%EC%96%B4%EC%9D%98%20%EC%A0%95%EC%88%98 |
음절 종성에 두 개의 자음이 놓일 때 그 중 하나를 탈락시키는 음운 현상이다. 자음군은 자음의 무리라는 뜻으로, 둘 이상의 자음이 놓인 것을 말한다. 둘 이상의 자음을 받침 자리에 ‘표기’할 수는 있으나 ‘발음’은 하나의 자음만 가능하다. ‘종성에 올 수 있는 자음의 최대 개수는 1개이다’라는 음절 구조 제약이 있기 때문이다. 종성의 ‘성(聲)’은 소리라는 의미이다. 자음군 단순화의 예로는 ‘없다→ 업따’, ‘넋→ 넉’, ‘넓다→ 널따’ 등이 있다.
자음군 단순화는 음절의 끝소리 규칙(평파열음화), 된소리되기, 거센소리되기보다 뒤에 일어나며 비음 동화나 조음 위치 동화보다는 앞서 일어난다. ㄳ,ㄵ,ㄼ,ㄽ,ㄾ,ㅄ는 뒷소리가 탈락하여 ㄱ,ㄴ,ㄹ,ㅅ,ㅌ,ㅂ이 된다. ㄺ,ㄻ,ㄿ는 앞소리가 탈락하여 ㄱ,ㅁ,ㅍ이 된다.
음절의 끝소리 규칙과 마찬가지로, 연음이 일어나는 환경에서는 자음군 단순화가 일어날 수 없다. 연음이 일어나면 자음군 중 뒤에 놓인 자음이 다음 음절의 초성 위치에 놓이기 때문이다. 연음은 모음으로 시작하는 형식 형태소가 후행할 때 일어난다. 반면, 자음으로 시작하는 형태소가 후행하거나 모음으로 시작하는 실질 형태소가 후행할 때에는 연음이 일어나지 않는다. ‘닭을→ 달글’에서는 연음이 일어나 받침에 있던 ㄹ과 ㄱ이 모두 발음되지만 ‘닭 앞→ 닥압→ 다갑’에서는 연음이 일어나지 않고 자음군 단순화가 적용된다. 모음으로 시작하는 실질 형태소가 후행할 때에는 자음군 단순화가 적용된 이후에 연음이 된다. 형식 형태소와 실질 형태소는 ‘국어의 정수(현대문법-형태론)’을 참고하자.
'국어과 교수학습자료 > 국어학 (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5장 음운의 변동 17. 음운 변동의 유형별 사례 – ㄹ 탈락 (탈락) (0) | 2025.02.16 |
---|---|
제5장 음운의 변동 16. 음운 변동의 유형별 사례 – ㅎ 탈락 (탈락) (0) | 2025.02.16 |
제5장 음운의 변동 14. 음운 변동의 유형별 사례 – 모음 완전 순행 동화 (교체) (0) | 2025.02.15 |
제5장 음운의 변동 13. 음운 변동의 유형별 사례 – 모음조화 (교체) (0) | 2025.02.15 |
제5장 음운의 변동 12. 음운 변동의 유형별 사례 – 반모음화 (교체), 모음축약 (축약) (0) | 2025.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