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재 : 국어의 정수 (현대문법-음운론) ■ E-Book 구매 링크 : https://skyclear247.upaper.kr/content/1187222 ■ 종이책 구매 링크 : https://bookk.co.kr/search?keywords=%EA%B5%AD%EC%96%B4%EC%9D%98%20%EC%A0%95%EC%88%98 |
단모음이 다른 단모음 앞에서 (음성적으로 유사한) 반모음으로 바뀌는 현상이다. ㅣ나 ㅗ/ㅜ로 끝나는 용언 어간 뒤에 ㅏ/ㅓ로 시작하는 어미가 올 때 일어난다. ‘피+어서→ 펴:서’, ‘보+아→ 봐:’ 등이 그 예이다. 어간과 어미가 만날 때이므로 동사나 형용사가 활용할 때에만 일어난다.
첫째, ㅣ 반모음화이다. ‘이기+어→ 이겨’, ‘기+어→ 겨:’와 같이 어간 끝 모음 ㅣ가 어미 첫 모음 ㅏ/ㅓ 앞에서 반모음ㅣ로 바뀌는 현상이다. 단음절 어간의 경우에는 수의적이고 다음절 어간의 경우에는 필수적이다. 다만 ‘지+어→ 져→ 저’, ‘찌+어→ 쪄→ 쩌’, ‘치+어→ 쳐→ 처’와 같이 초성이 ㅈ,ㅉ,ㅊ로 시작하는 단음절의 어간의 경우에는 필수적이다.
둘째, ㅗ/ㅜ 반모음화이다. ‘보+아→ 봐’, ‘가두+어→ 가둬’와 같이 어간 끝 모음 ㅗ/ㅜ가 어미 첫 모음 ㅏ/ㅓ 앞에서 반모음 ㅗ/ㅜ로 바뀌는 현상이다. 어간의 음절수와 관계없이 수의적이다. 다만 ‘오+아→ 와’, ‘배우+어→ 배워’와 같이 반모음화를 겪는 음절이 초성을 갖지 않는 경우에 필수적이다.
셋째, ㅡ 반모음화이다. ‘뜨+이다→ 띄다’와 같이 어간 끝 모음 ㅡ가 어미첫 모음 ㅣ앞에서 반모음ㅡ로 바뀌는 현상이다. 이중모음 ‘ㅢ’을 ㅡ와 반모음ㅣ로 분석하는 경우에는 ㅡ반모음화가 아닌 ㅣ반모음화로 본다.
고등학교 교과서에서는 반모음화를 모음 축약으로 소개하는 경우가 많다. 두 개의 단모음이 하나의 이중모음으로 줄어들었다고 보는 것이다. 결국 반모음화냐 모음축약이냐는 이중모음을 하나의 음운으로 볼 것이냐 두 개의 음운으로 볼 것이냐와 관련된다. 반모음을 음운으로 보지 않을 것이냐 하나의 음운으로 볼 것이냐와 관련된 것이다. 필자가 모음축약을 반모음화에 분류한 이유는, 전공 국어의 측면에서 봤을 때 반모음도 음운이기 때문이다. 반모음으로 인해 단어의 뜻이 구별된다. 단어의 뜻을 변별하는 소리의 최소 단위라면 음운이다. ‘피+어서→ 펴:서’에서 ㅣ와 ㅓ가 ㅕ가 되었다. 음운 변동 전과 후의 음운의 개수는 모두 2개로 차이가 없다. 즉, 축약이 아니다.
※ 어간 끝 모음 'ㅏ, ㅗ, ㅜ, ㅡ' 뒤에 '-이어'가 결합하여 줄 때에는 두 가지 형식으로 나타난다. '-이어'가 앞(어간) 음절에 올라붙으면서 줄기도 하고, 뒤(어미) 음절에 내리 이어지면서 줄기도 한다. ‘쓰+이어[쓰여/씌어], 싸이어[쌔어/싸여], 보이어[뵈어/보여], 쏘이어[쐬어/쏘여], 누이어[뉘어/누여]’ 등이 그 예이다. 다만 ‘뜨+이어’는 관용상 '뜨여쓰기, 뜨여 쓰다, 뜨여 놓다'로 사용되지 않고, ‘띄어쓰기, 띄어 쓰다, 띄어 놓다’ 등으로만 사용된다.
'국어과 교수학습자료 > 국어학 (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5장 음운의 변동 14. 음운 변동의 유형별 사례 – 모음 완전 순행 동화 (교체) (0) | 2025.02.15 |
---|---|
제5장 음운의 변동 13. 음운 변동의 유형별 사례 – 모음조화 (교체) (0) | 2025.02.15 |
제5장 음운의 변동 11. 음운 변동의 유형별 사례 – ㅣ모음 역행동화, 움라우트 (교체) (0) | 2025.02.13 |
제5장 음운의 변동 10. 음운 변동의 유형별 사례 – 원순모음화, 비원순모음화 (교체) (0) | 2025.02.13 |
제5장 음운의 변동 9. 음운 변동의 유형별 사례 – 조음위치 동화 (교체) (0) | 2025.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