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교재 : 국어의 정수 (현대문법-음운론) ■ E-Book 구매 링크 : https://skyclear247.upaper.kr/content/1187222 ■ 종이책 구매 링크 : https://bookk.co.kr/search?keywords=%EA%B5%AD%EC%96%B4%EC%9D%98%20%EC%A0%95%EC%88%98 |
용언 어간에 적용되는 ㄹ 탈락 중에는 다소 특이한 적용 환경을 지니는 경우도 있다. ‘아ᅀᆞᆸ고, 여ᅀᆞᆸ고’ 등과 같이 역사적으로 ㅿ를 가졌던 어미 앞에서 유음이 탈락한 경우, 이후 ㅿ이 소멸하면서 마치 모음 앞에서 유음이 탈락한 것처럼 보인다. ‘살+옵고[사:옵꼬], 살+오니[사:오니]’ 등이 그 예이다. ㅿ이 소멸에 대해서는 ‘국어의 정수(중세문법-음운론)’을 참고하자.
약속의 의미를 지니는 '-(으)마' 앞에서 일어나는 유음 탈락은 단어에 따라 수의적으로 일어난다. ‘살+마[사:마], 팔:마[파마], 밀+마[밀:마]’ 등이 그 예이다.
반응형
'국어과 교수학습자료 > 국어학 (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화] 제5장 음운의 변동 10. 거센소리되기, 유기음화, 격음화 (0) | 2025.02.28 |
---|---|
[심화] 제5장 음운의 변동 9. ‘ㅡ 탈락’과 ‘ㅡ 첨가’ (0) | 2025.02.28 |
[심화] 제5장 음운의 변동 7. 모음 완전 순행 동화 (0) | 2025.02.28 |
[심화] 제5장 음운의 변동 6. 모음조화 (0) | 2025.02.28 |
[심화] 제5장 음운의 변동 5. ㅣ모음 역행동화 (0) | 2025.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