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형태소 분석에는 거시적 분석과 미시적 분석이 있다. 중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는 거시적 분석을 선택하고 있다. 가령 ‘보이었습니다’를 형태소 분석할 때 ‘보+이+었+습니다’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 때 ‘습니다’를 ‘습+니+다’로 더 나누어 분석하는 것을 ‘미시적 분석’이라 한다.
개별 선어말 어미들은 모두 최소의 의미를 갖고 있는 형태소이다. 따라서 논리적으로 볼 때 미시적으로 하나하나 형태소 분석을 해야 하는 것이 맞다. 다만, 국어사적으로 보았을 때 하나의 형태로 굳어졌다고 판단하여 굳어진 형태를 묶어 하나의 형태소로 보는 것이다.
반응형
'국어과 교수학습자료 > 국어학 (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화] 제1장 형태소 6. 기본형 (2) | 2025.06.29 |
---|---|
[심화] 제1장 형태소 5. 이형태의 종류 (0) | 2025.06.29 |
[심화] 제1장 형태소 3. 생략형 형태소, 완성형 형태소 (0) | 2025.06.29 |
[심화] 제1장 형태소 2. 형태소 분석이 어려운 경우 (0) | 2025.06.29 |
[심화] 제1장 형태소 1. 형태소 (0) | 2025.06.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