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과 교수학습자료/국어학 (문법)

[심화] 제1장 형태소 3. 생략형 형태소, 완성형 형태소

광합성 도우미 2025. 6. 29. 07:13
반응형

올벼-’생육 일수가 짧아 빨리 여무는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이다. ‘오조-’가 결합한 말이다. 이때 형태소 분석을 -+로 할 수도 있고 -+로 할 수도 있다. 전자의 -’를 생략형 형태소, 후자의 -’을 완성형 형태소라 한다.

다달이++또는 ++로 분석할 수 있다. ‘나날이++또는 ++로 분석할 수 있다. 두 경우 모두 전자는 생략형 형태소, 후자는 완성형 형태소로 적은 것이다.

형태소 분석의 일관성을 고려할 때, 생략형보다는 완성형이 형태소의 기본형으로 적합하다고 볼 수 있다. 형태소는 최소 의미 단위이므로, 완성형을 밝혀 본래 형태를 드러낼 때 그 의미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