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과 교수학습자료/국어학 (문법)

[심화] 제4장 음운론적 제약 3. 음절에 대한 음운론적 제약

광합성 도우미 2025. 2. 28. 03:32
반응형
■ 교재 : 국어의 정수 (현대문법-음운론)
■ E-Book 구매 링크 : https://skyclear247.upaper.kr/content/1187222
■ 종이책 구매 링크 : https://bookk.co.kr/search?keywords=%EA%B5%AD%EC%96%B4%EC%9D%98%20%EC%A0%95%EC%88%98

 

 

음절에 대한 음운론적 제약을 살펴보자. 음절에 대한 음운론적 제약은 음절 구조 제약과 음절 배열 제약으로 나뉜다. 음절 구조 제약은 음절의 구조, 즉 초성·중성·종성과 관련된 제약이다. 음절 구조에 대한 정보가 반드시 포함되며 한 음절 내부의 문제로 국한된다.

초성에 대한 제약을 살펴보자. 첫째, 초성에 올 수 있는 자음의 최대 개수는 1개이다. 둘째, 연구개 비음 ㅇ은 초성에 올 수 없다.

종성에 대한 제약을 살펴보자. 첫째, 종성에 올 수 있는 자음의 최대 개수는 1개이다. 이 제약을 어기는 형태가 만들어지면 자음이 하나 탈락한다. 둘째, 종성에는 ',,,,,,'7종류만 올 수 있다. 이 제약을 어기는 형태가 만들어지면 ',,' 중의 한 자음으로 바뀐다.

현실 발음을 고려한 음절 구조 제약도 있다. 이 경우 제약이긴 하지만 필수적이지 않다. 그렇게 발음하는 사람도 있고 아닌 사람도 있다는 의미이다. 중성에 이중 모음 ''가 오면 종성에는 자음이 올 수 없다 등이 대표적이다.

음절 배열 제약 음절과 음절 사이의 결합에서 발생한다. 음절의 초성은 강한 자음이 놓이는 것이 자연스럽고 음절의 종성은 자음이 오지 않거나 오더라도 약한 자음이 놓이는 것이 더 자연스럽다. 이러한 경향성이 음절과 음절 사이의 결합에도 관여하여 이와 같은 음절 배열 제약을 낳게 되었다. 음절 배열 제약을 한 마디로 정의하면 후행 음절의 초성의 울림도는 선행 음절 종성의 울림도보다 크면 안 된다이다후행 음절 초성의 음운론적 강도는 선행 음절 종성의 음운론적 강도보다 작으면 안 된다는 의미이다. 더 쉽게 표현하자면 뒷말 첫소리가 앞말 마지막 소리 이상 강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발생하는 제약을 하나씩 살펴보자. 첫째, 비음 앞에는 장애음이 올 수 없다. 이 제약을 어기는 형태가 만들어지면 장애음이 비음으로 바뀐다. 비음이 장애음보다 음운론적 강도가 낮기 때문이다. 둘째, ㄹ 앞에는 ㄹ 이외의 자음이 올 수 없다. 이 제약을 어기는 형태가 만들어지면 후행하는 ㄹ이 ㄴ으로 바뀌거나 선행하는 자음이 바뀐다.

자음의 음운론적 강도는 자음의 공명도에 반비례한다. 공명도가 클수록 자음적인 성격은 약해지므로 음운론적 강도가 약해지고 공명도가 작을수록 자음적인 성격은 강해지므로 음운론적 강도가 강해진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