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첫째, 수사는 관형어의 수식을 받을 수 있으나 상대적으로 제약이 심하다. ‘관형사’, ‘용언의 관형사형’, ‘체언+관형격조사’ 모두 수사를 수식하는 데 제약이 있다. ‘새 하나’, ‘달려가는 하나’, ‘철수의 하나’ 모두 어색하다. 일부 관형사의 수식만을 받을 수 있다.
둘째, 수사는 복수 접미사 ‘-들’과 결합하는 데에 제약을 가진다. ‘스물둘들, 아흔아홉들’ 등의 표현은 어색하다.
셋째, 양수사가 체언을 수식할 때에는 체언 뒤에 오는 것이 자연스럽다. ‘놀이터에서 둘의 아이가 놀고 있다.’보다 ‘놀이터에서 아이 둘이 놀고 있다.’가 더 자연스럽다.
반응형
'국어과 교수학습자료 > 국어학 (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화] 제3장 품사 21. 수량과 순서를 나타내지만 수사가 아닌 단어 (0) | 2025.07.02 |
---|---|
[심화] 제3장 품사 20. 수사와 대명사의 공통점과 차이점 (0) | 2025.07.02 |
[심화] 제3장 품사 18. 수사 ‘첫째’와 보충법 (1) | 2025.07.02 |
[심화] 제3장 품사 17. 명사와 대명사의 차이점 (1) | 2025.07.02 |
[심화] 제3장 품사 16. ‘저희’ (1) | 2025.07.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