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과 교수학습자료/국어학 (문법)

[심화] 제3장 품사 9. 대명사의 기능

광합성 도우미 2025. 7. 2. 10:52
반응형

대명사는 상황 지시명사 대용의 기능을 지닌다. 상황 지시적 기능이란 화자의 상황이 달라졌을 때 동일한 대상의 명칭이 달라지거나 동일한 명칭의 지시 내용이 달라지게 되는 현상을 말한다. ‘교실은 화자의 상황에 따라 여기가 될 수도 거기가 될 수도 저기가 될 수도 있다. ‘여기는 화자의 상황에 따라 학교가 될 수도 있고 이 될 수도 있다. 명사 대용적 기능이란 이전에 쓰인 명사를 대신하는 현상을 말한다. ‘철수는 나에게 장갑을 주었다. 나는 그것을 받아서 주머니에 넣었다.’에서 그것은 선행 문장에 쓰인 명사 장갑을 대신한다.

첫째, 상황 지시는 발화 현장에서 어떠한 대상을 직접 가리키는 것을 말한다. ‘직시, 지시, 화시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 저기, 무엇' 등의 의미는 상황에 따라 다른 의미로 이해된다. '''민수'일 수도 있고 '영수'일 수도 있는 것이다. 반대로 같은 대상에 대해 다른 대명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민수'에 대해서 ''로 표시할 수도 있고 ''로 표시할 수도 있고 ''로 표시할 수도 있는 것이다.

둘째, 대용은 담화 속에서 앞선 문맥에서 이미 언급한 말을 가리키는 것을 말한다. ‘우리는 기차로 서울역까지 갔다. 거기에서 청와대까지는 택시를 타고 갔다.’에서 '거기'는 앞에 나온 '서울역'을 이어받는 것으로 이해된다. 심지어 저번에 그거 있잖아?’와 같이 실제 발화에서 드러나지 않더라도 화자와 청자가 전제한 어떤 것을 이어받아서 표현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