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과 교수학습자료/국어학 (문법)
[심화] 제2장 단어의 형성 4. 생산적(규칙적) 접사, 비생산적(불규칙) 접사, 끊어적기, 이어적기
광합성 도우미
2025. 6. 29. 07:17
반응형
어근과 마찬가지로 접사 역시 규칙적 접사와 불규칙 접사가 있다. 이들을 나누는 기준은 접사의 생산성이다. 접사의 생산성이란 접사가 새말을 형성할 수 있는 정도를 말한다. 생산적(규칙적) 접사는 대체로 의미가 뚜렷하고 규칙적인 양상을 보인다. 비생산적(불규칙) 접사는 의미도 불분명하고 어근과의 결합도 불규칙적이다.
생산적 접사는 어근과 접사를 ‘끊어적기’를 한다. 어근의 원형을 밝히어 적는다. ‘길이, 깊이, 죽음, 걸음’ 등의 {-이}{-(으)ㅁ} 등이 그 예이다. 비생산적 접사는 어근과 접사를 ‘이어적기’를 한다. 어근의 원형을 밝히어 적지 않는다. ‘모가치, 마개, 바가지, 주검, 마중’ 등의 {-아치}{-애}{-아지}{-엄}{-웅} 등이 그 예이다.
※ 어근에 따라서도 끊어적기와 이어적기가 나뉜다. 규칙적 어근은 ‘끊어적기’를 하고, 불규칙 어근은 ‘이어적기’를 한다. 한글 맞춤법에서는 ‘-하다’나 ‘-거리다’가 결합하는 경우를 규칙적 어근으로, 결합하지 않는 경우를 불규칙 어근으로 본다. ‘꿀꿀이’는 끊어적고 ‘개구리’는 이어적는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