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과 교수학습자료/국어학 (문법)

제2장 단어의 형성 9. 통사

광합성 도우미 2025. 6. 28. 22:53
반응형

통사란 문장을 말한다. 통사적 규칙이란 문장 성분들이 모여 문장을 구성하는 데 쓰이는 모든 규칙을 말한다. 통사적 구성이란 통사적 규칙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한 문장을 구성하는 성분들의 조직·구조 등이다. '관형어+체언', '주어+목적어+서술어' 등이 대표적이다.

이런 의미에서 통사적 합성어는 문장에서 찾아 볼 수 있는 방식으로 결합한 합성어를 말한다. ‘새 책관형어+체언으로서 일반적인 통사적 구성이다. 이와 동일한 구성인 새해는 통사적 합성어인 것이다.

비통사적 합성어는 문장에서 찾아 볼 수 없는 방식으로 결합한 합성어를 말한다. 문장을 구성할 때 관형사형 어미(-, -, -, -)이나 보조적 연결 어미(-/, -, -, -)는 생략되지 않는다. ‘접은 칼동사 어간+관형사형 어미+체언으로서 일반적인 통사적 구성이다. 이와 달리 관형사형 어미가 생략된 접칼은 비통사적 합성어인 것이다.

자세한 개념은 국어의 정수(현대문법-통사론)을 참고하길 바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