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과 교수학습자료/국어학 (문법)

[심화] 제2장 단어의 형성 2. 어기

광합성 도우미 2025. 6. 29. 07:17
반응형

어기라는 말 자체는 단어를 형성할 때 기초가 되는 부분이라는 의미이다. 어기는 어근과 어간을 아우르되 실제의 언어 현실을 고려한 개념이다. 한 단어에서 언중들이 국어사적으로 분석된 어근을 인식하기 어려운 경우, 그들이 어근으로 인식하는 부분어기라고 한다. 언중들이 어근으로 인식하는 부분이므로 대개 어근보다는 크고 어간보다는 작은 단위이다. 여기까지는 필자의 설명이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어근은 대체로 역사적인 분석이나 반성에 의하여 얻어진 개념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실제의 언어 현실에서는 단어형성의 기간적(基幹的) 부분이 의식되므로 이것이 기초가 되어 새로운 단어가 구성되거나 또는 파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때 단어형성의 기간적 부분이나 요소를 어기라 한다. 이 어기에 대한 개념규정은 학자에 따라 다르다. 그래서 어떤 경우는 어간보다 더 기본적인 부분인 어근과 같은 뜻으로 사용되는 예가 있다. 그러나 단어형성의 측면에서 어근이 역사적인 면에서 동계 언어와의 비교연구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는 점에서, 차라리 실제적인 단어의 기본인 어간과 같은 의미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반응형